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5년 가을 61호
시인 육근상 시집 『동백』 북_콘서트

시인 육근상 시집 『동백』 북_콘서트(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지난 8월 10일 사)김제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이사장 김왕배) 주최로 시인 육근상 시인의 시집 『동백』을 주제로 북(Book) 콘서트가 열렸다.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육근상 시인의 시집 『동백』에 수록된 ‘적막’이라는 시는 동학농민혁명 구미란 전적지인 김제 금산면 용호리 구미마을을 방문한 후 귀가(歸家)하면서 시상(詩想)이 떠올라 창착한 시라고 한다. 이날 행사는 최고원 김제기념사업회 상임이사의 사회로 혼성그룹 가수 ‘모악랑’의 공연, 최김춘근(작가)의 대금연주, 문학평론가 임우기의 시집 소개, 시인과의 대화, 오디오북유투버 조영심의 시 낭송, 사인회, 백정 동록개의 밥상체험 등 다채롭게 진행되어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한편, 북콘서트가 열린 원평집강소는 동학농민혁명 당시 신분제 철폐라는 동학농민군의 이념에 깊이 공감한 백정 ‘동록개’가 원평에서 활약한 김덕명 대접주에게 자기 집을 헌납했고, 이를 동학농민군이 집강소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집은 1882년 4칸짜리 초가(草家)로 지어졌으며, 1894년 동학농민혁명 때 집강소로 활용된 이후 금산면사무소, 원불교 불법연구회, 개인 주택 등으로 사용되었다. 이 집을 2014년 문화재청에서 긴급 매입하였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 보수·정비에 나서 2015년 12월 현재의 모습으로 개관하였다.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5년 가을 61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