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5년 가을 61호
김도삼 선생 묘비 및 간판 정비

김도삼 선생 묘비 및 간판 정비(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지난 7월 정읍시는 추경예산을 확보하여 정읍시 이평면 평령리 527에 자리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김도삼 선생의 묘역 주변 대나무와 잡목을 제거하고, 오래된 마을 입구의 안내판을 교체하였다. 일반적으로 전봉준(全琫準)·김도삼(金道三)·정익서(鄭益瑞) 세 사람을 동학농민혁명의 도화선(導火線)이 된 고부농민봉기 3장두(三將頭)라고 얘기한다.

  김도삼 선생은 1893년(癸巳年) 11월 작성된 ‘사발통문 거사계획’ 서명자(署名者)로 동학농민혁명 전체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1894년 12월 공주 우금치전투 때 체포되어 이듬해(1895) 1월 26일(음력) 전라감영에서 40세 일기로 옥사(獄死)하였다.
 
  한편, 1894년 2월 15일 고부농민봉기 때 고부군 두지리 말목장터 감나무 밑에서 고부관아 점령을 결의한 후 대오를 2진(二陣)으로 편성, 1진은 전봉준이 인솔하여 영원면 후지리를 경유하여 고부관아로 진격하였고, 2진은 김도삼이 인솔하여 산매리-도계리-천치재를 넘어 고부관아로 진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5년 가을 61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