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5년 가을 61호
2024년 동학농민혁명 신진연구자 워크숍

 동학농민혁명 연구의 새로운 인재풀 구축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지난 6월 27일과 28일 이틀간 기념공원 내 교육관에서 ‘2024년 동학농민혁명 신진연구자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워크숍에는 고려대, 단국대학교·서울대대학교·원광대학교·전북대학교 등의 학부생과 대학원 재학생 및 졸업생 50여 명이 참가하였다. 또한 동학농민혁명 전공연구자 신순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신영우(동학농민혁명연구소장), 고석규(전 목포대총장), 배항섭(성균관대 교수), 왕현종(연세대 교수), 김양식(청주대 교수), 조재권(서강대 연구교수), 유바다(고려대 교수) 등이 참가하여 신진연구자에게 동학농민혁명 관련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동향에 이르기까지 깊이 있는 조언과 토론을 가졌다.


  첫째 날 열린 1부 세미나는 왕현종 교수의 ‘근대 민중론의 시각과 방법’, 조재곤 교수의 ‘격랑 속의 동북아, 청일전쟁’이라는 주제 발표와 토론이 있었다. 이어서 2023년 동학농민혁명 웹툰 공모전 대상 수상자인 만화가 이지현(전주대 교수)의 ‘대중 문화 콘텐츠의 경향과 동학농민혁명 사상의 적용 방안 –웹툰을 중심으로’라는 주제 강연이 있었다. 2부 세미나는 전북대 사학과 재학 중인 노유진, 송치영, 유연서, 이혜린의 「시계열 분석으로 살펴본 동학농민혁명 연구 동향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의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과정을 수료한 최규상의 「현지 자료를 통해 본 태인동학농민군과 김개남」, 단국대 박사과정을 수료한 김현선의 「자운(紫雲) 이중구( 李中久)의 시선으로 본 동학농민혁명 -『李中久家 五代 古文書』를 중심으로-」이 각각 발표되었다. 


  둘째 날 유적지 답사는 동학농민군이 전라감영군(全羅監營軍)과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둔 황토현전적지 일대에 조성된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의 기념관·추모관·전시관·불멸, 바람길(전봉준 장군과 동학농민군상) 등을 돌아보았다. 이어서 동학농민혁명 관련 유적지 원평집강소(김제시 금산면 봉황로), 김개남 묘역 및 고택 터(정읍시 산외면 동곡리), 조규순 영세불망비(정읍시 태인면 태산로), 태인전투지(정읍시 태인면 성황산) 등을 답사하였다.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5년 가을 61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