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5년 가을 61호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국제학술회의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국제학술회의(동북아재단 공동 학술대회)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연구의 새로운 접근 -


발표                                                                                                                    토론


기념촬영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답사


  지난 10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 동안 동북아역사재단(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미근동) 대회의실에서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국제학술회의가 열렸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연구의 새로운 접근> 이라는 주제로 한국과 미국, 일본, 중국 연구자 30여 명이 참석하여 총 3부로 진행되었다.


  1부는 청일전쟁과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구미 열강들이 동학농민혁명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동훈 연구원(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유바다 교수(고려대 한국사학과), ▲김태웅 교수(서울대 역사교육과), ▲권의석 교수(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장경호 선임연구원(강원대 강원전통문화연구소)이 참여하여 각각 러시아,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등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각국의 태도 및 인식을 발표하였다.


  2부와 3부에서는 근대 군사기술부터 외교 사상, 세계사적 관점과 개인의 삶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청일전쟁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일본과 중국 중심으로 각각 검토하였다. 2부는 ▲신효승 연구위원(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 ▲모리 마유코(森万佑子) 교수(일본 도쿄여대), ▲최덕규 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웨이천광(魏晨光) 연구원(중국 산둥대)이 참여하였다. 3부는 ▲커크 라슨(Kirk W. Larsen) 교수(미국 브리검 영대) ▲리짜이취안(李在全) 연구원(중국사회과학원), ▲이동욱 연구위원(동북아역사재단) ▲이정희 교수(인천대) ▲쉬춘젠(許存健) 연구원(중국 산둥대)이 참여하였다.


  이번 학술회의를 참가한 연구자 30여 명은 학술회의를 마친 다음 날 10월 17일에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과 전봉준 고택, 만석보 터 등 정읍지역 동학농민혁명 유적지를 답사하며 동학농민혁명에 역사를 되돌아보았다.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5년 가을 61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