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5년 가을 61호
이상식 선생님을 추모하며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역사를 밝히고 후학을 품은 스승

이상식 선생님을 추모하며



  2025년 8월 5일, 전남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자 광주전남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대표 이상식 선생님이 별세하셨다(향년 87세). 선생님은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현대에 되살리고, 민주화운동의 실천자로서 학문과 삶을 일치시키며 우리 사회에 큰 발자취를 남기셨다.



민주와 평등을 삶으로 실천한 학자


  선생님은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의미를 깊이 연구하고, 이를 현대 민주주의와 인권운동의 뿌리로 삼았다. 동학농민혁명의 평등과 정의, 민중의 권리를 존중하는 정신은 선생님의 학문과 활동 전반에 흐르는 중심 가치였다. 특히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대학교 교수로서 시국선언문을 작성하고 동료 교수들과 함께 행동에 나섰으며 그로 인해 체포와 해직 등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행동은 선생님이 단순한 학자가 아니라, 역사적 진실과 정의를 삶으로 실천하는 지식인이었음을 보여준다.



역사를 오늘로 잇는 가르침


  선생님은 역사학자로서의 깊은 통찰을 바탕으로, 동학농민혁명과 5·18광주민주화운동을 단순한 과거의 사건으로 보지 않았다. 오히려 오늘날의 삶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중요한 교훈으로 삼았다. 특히 선생님이 이끌었던 광주전남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는 역사적 진실을 알리고, 지역민과 시민들에게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전달하는 중요한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후학과 사회를 위한 나눔의 여정


  선생님은 학문적 업적뿐 아니라 사회와 후학을 위한 나눔에서도 본보기가 되셨다. 2017년 동학농민혁명 제123주년 무장기포기념제에서 받은 ‘제10회 녹두대상’ 상금 전액을 모교 발전기금으로 기탁하며 제자들을 위한 장학사업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2003년 정년퇴임 당시 5,000만 원의 발전 기금을 전남대학교 사학과에 기탁하여 매년 학부와 대학원 각 1명의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게 하였다. 선생님은 “동학농민혁명의 위대한 정신이 면면히 이어져 5·18광주민주화운동을 낳았다”며, 학생들에게 그 정신을 되돌려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씀하셨다.



삶과 정신이 남긴 길


  이상식 선생님의 삶은 단순한 학문적 업적을 넘어 정의와 평화를 향한 끊임없는 실천의 여정이었다. 그의 유산은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현대에 되살리고, 민주화운동의 가치를 지켜 나가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다.


  고 이상식 선생님의 명복을 빌며, 그의 삶과 정신이 우리 모두의 가슴 속에 살아 숨쉬기를 바란다.



(선생님의 뜻을 기리는 후학, 임현진)





 

2023년 전남대학교 사학과 장학금 전달식(제공: 전남대학교 사학과)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5년 가을 61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