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5년 가을 61호
전북특별자치도, 광역자치단체 최초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수당 지급 근거 마련

전북특별자치도, 광역자치단체 최초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수당 지급 근거 마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수당 지급 후속대책 논의_지자체 관계기관 회의(2024.10.29./전주)


  동학농민혁명 130주년이었던 2024927전북특별자치도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 지원 조례가 개정되었다. 이로써 전북특별자치도는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에 대한 수당 지급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번에 개정(신설)된 내용은 5(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유족수당) 도지사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와 유족의 명예회복을 위해 유족에게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이다. 이에 따라 20241029소셜캠퍼스 온 전북’(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5층에서 관계기관(전북특별자치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유족회, 동학농민혁명 기념단체)과 각 시·군 관계 공무원이 한자리에 모여 유족수당의 지급 시기, 대상자 선정, 지급액을 비롯하여 시행규칙 및 지침 검토 등 후속대책을 논의하였다.


  전북특별자치도는 해당 관계기관의 의견수렴을 종합하여 시행규칙을 만든 후 2025년도부터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수당을 지급할 예정이다. 소요되는 예산은 전북자치도와 각 시·군이 분담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조례안을 대표 발의한 전북자치도 염영선 의원은 동학농민혁명 130년을 맞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와 유족의 명예 회복을 위한 수당을 지급할 수 있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이번 일을 계기로 동학농민혁명의 가치와 중요성이 재조명받고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독립유공자 서훈, 나아가 헌법전문에 동학농민혁명 정신 수록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는 2019년도에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수당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여 2020년부터 지금까지 정읍시에 1년 이상 주소를 두고 거주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증손까지)에게 매월 10만 원을 유족수당으로 지급하고 있다.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5년 가을 61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