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5년 가을 61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 더욱 발전하는 2013년을 위하여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 더욱 발전하는 2013년을 위하여


  안녕하십니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유진룡입니다.


  먼저 2013년 새 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 특수법인으로 설립된 지 4년을 맞이하는 동안 ‘녹두꽃’이 어려운 여건에서도 동학농민정신의 선양을 위해 파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여 온 점을 감사드립니다.


  그 동안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보국안민(輔國安民)의 혁명정신을 기념하고 연구하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해 왔습니다.


  1894년에 불꽃처럼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정신은 이후 사그라진 것이 아닙니다.


  3·1운동에서 4·19혁명으로, 그리고 5·18민주화 항쟁까지 압제와 폭거에 투쟁하는 시대정신으로 면면히 이어져 왔습니다. 동학농민혁명군의 피와 땀으로 굳건히 다져진 대지가 있었기에 우리는 그곳에 민주주의의 씨앗을 심고 꽃을 피울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내년은 동학농민혁명이 발발한 지 12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두 번째 육십갑자를 맞이하는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이 다시금 국민들의 마음속에 되살아나고 후세에 길이 전승될 수 있도록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정부에서도 120주년을 맞이하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이 원활히 추지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아울러 내년에는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 건립을 위한 첫 삽을 뜨는 해입니다. 역사의 기념물은 그 정신을 대변하고 표현한다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이제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이 계획대로 건립되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로, 선열의 정신을 되새길 수 있는 추모의 공간으로 자리 잡길 바랍니다.


  끝으로, 지금까지 동학농민혁명정신 선양을 위해 애쓰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임직원 여러분의 노고를 치하하며, 녹두꽃 구독자 여러분께 건강과 행운이 함께 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유진룡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5년 가을 61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