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4년 가을 57호
부안, 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기념 학술대회

부안, 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기념 학술대회(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지난 829일 부안문화예술회관에서 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열렸다. 부안군 주최, 부안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회장 배의명)와 전북대학교 이재연구소(소장 김영준)가 공동 주관한 학술대회는 부안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 등 관련 콘텐츠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학술대회는 부안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의 콘텐츠 활용 방안’(장기재, 주군), 안 동학농민혁명 유적지 관광자원화 방안’(김형오, 전북연구원), ‘부안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의 스토리텔링화 방안’(박정민, 전북대학교), ‘부안의 동학농민군의 이동 과정과 유적지’(성주현, 청암대학교), ‘부안의 동학 도소의 성격 등 동학농민혁명 유적지’(김영준 전북대학교 이재연구소장) 순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부안군 백산(白山)은 동학농민군이 1894425일 무장포고문을 공포한 후 고부관아다시 점령하고, 189451일 이곳으로 진출하여 대회(大會)를 가진 장소이다. 이곳에서 총대장 전봉준, 총참모 김덕명, 양관령 손화중·김개남, 영솔장 최경선, 비서(祕書) 정백현 등 군대로서의 대오를 확대·개편하고, “우리가 의를 들어 여기에 이른 것은 그 뜻이 다른 데 있지 아니하고 창생을 도탄 가운데서 건지고 국가를 반석의 위에 두고자 함이다. 안으로는 탐학한 관리의 머리를 베고 밖으로는 횡포한 강적의 무리를 내쫓고자 함이다. 양반과 부호 밑에서 고통받는 민중들과 방백과 수령 밑에서 굴욕을 당하는 소리(小吏)들은 우리와 같이 원한이 깊을 것이니, 조금도 주저치 말고 이 시각으로 일어서라. 만일 기회를 잃으면 후회해도 미치지 못하리라.”라는 격(檄文)을 발표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4년 가을 57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