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4년 겨울 54호
조국(祖國) 캄보디아 독립기념일에 방문한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조국(祖國) 캄보디아 독립기념일에 방문한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ark visited on Cambodia's Independence Day, my country.


모나(Mona)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방문(2023.11.9.)


  저는 캄보디아 국적의 모나라고 합니다. 저는 2013년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인 남편을 만나 결혼한 후 캄보디아에 살다가 2017년 한국에 와서 지금까지 살고 있습니다. 저는 평소에 한국사에 관심이 많았는데, 얼마 전에 한국사에 박식한 저의 남편의 직장 상사를 통해 “동학농민혁명”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의 조국 캄보디아 독립일인 11월 9일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을 찾았습니다. 현재 제가 고국을 떠나 한국에 살고 있지만 조국 캄보디아 독립일에 뭔가 뜻있는 일을 하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한국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 동학농민혁명의 역사를 알아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My name is Mona and I am of Cambodian nationality. I met my Korean husband in Cambodia in 2013, married him, and started our family in Cambodia before moving to Korea in 2017, where I have been living ever since.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and recently I learned abou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rough my husband’s company director, who is knowledgeable in Korean history. So, on November 9th, the independence day of my country, Cambodia, I visited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ark. Although I am currently living in Korea after leaving my home country, I wanted to do something meaningful on Cambodia's independence day, and I wanted to learn about the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ich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Korean history.



 

  캄보디아는 프랑스 식민지였다가 1953년에 독립하였습니다. 저의 조국 캄보디아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날을 기해 남편과 함께 방문한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은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129년 전 일본군의 침략에 맞서 조국의 자주를 위해 싸운 동학농민군들의 희생에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동학농민군의 숨결이 깃든 기념공원 곳곳을 둘러보면서 난관에 처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돕고 서로가 의지하여 일본군과 싸운 역사를 접하면서 숙연해지기까지 했습니다.


  그리고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서 의로운 정신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습니다. 동학농민혁명도 전봉준 장군을 비롯한 의롭고 정직한 지도자들을 따르는 사람들이 없었다면 이룰 수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Cambodia was a French colony and gained independence in 1953.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ark, which I visited with my husband on the day of my country Cambodia's independence from France, was very impressive. I am deeply moved by the sacrifices made by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fought for the independence of their country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129 years ago. While looking around the memorial park where the Donghak Peasant Army lives, I became solemn as I realized the history of their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army by helping each other and relying on each other despite difficult situations to free their country from social problems and foreign invasion.


And I learned how important a righteous character is in a leader's leadership. This is because I thought th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uld not have been achieved without the people following their righteous and honest leaders, including General Jeon Bong-jun.



 

  동학농민혁명의 역사를 배우면서 프랑스의 식민지를 겪어야 했던 저의 조국 캄보디아의 역사를 생각하였고, 참 유사한 면이 많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 때인 1941년부터 1945까지 일본은 프랑스 식민지였던 캄보디아를 점령하였습니다. 1940년 프랑스가 패배한 후 캄보디아와 인도차이나를 점령한 일본이 캄보디아를 식민지로 지배하고 있던 프랑스 관리들에게 관리권을 그대로 두면서 실질적으로는 일본이 캄보디아를 장악하였습니다. 이후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일본이 철수하였고, 캄보디아 노르돔 시하누(Norodom Sinhaouk) 왕과 그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캄보디아 혁명을 이끌었습니다. 이 혁명이 성공하여 마침내 1953년 캄보디아는 프랑스로부터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제국주의자들에 의한 식민지 지배의 경험은 우리 캄보디아 국민에게 유능한 지도자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였고, 서로 협력하는 것의 중요성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자주와 평등, 평화를 지향한 동학농민혁명 역시 확고한 신념을 지닌 지도자와 이를 따르는 사람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력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훌륭한 지도자 아래 수많은 사람이 열성적으로 혁명에 참여했으나 동학농민혁명은 일본군에게 패배하고 말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의로운 정신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며,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While learning about the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 thought about the history of my home country, Cambodia, which was a French colony and realized that we share many similarities. During World War II, from 1941 to 1945, Japan occupied Cambodia,which was still a French colony. After France's defeat in 1940, Japan took control of Cambodia and Indochina, leaving control of the French officials who controlled Cambodia as a colony. After World War II ended and Japan withdrew, Cambodian King Norodom Sinhaouk and his supporters led the Cambodian Revolution. This revolution was successful and Cambodia finally became independent from France in 1953.


This experience of colonial rule by imperialists made us Cambodians realize the importance of competent leaders and taught us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ich was aimed at independence, equality, and peace, we could see that leaders with solid beliefs and those who followed them worked closely together. Although many people enthusiastically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under a great leade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defeated by the Japanese army. However, their righteous spirit continues to this day in which we live, and I think it is necessary.



 

  이번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방문은 한국의 동학농민혁명을 깊이 이해할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더 강하고 민주적인 나라를 만들기 위해 희생한 동학농민군들에게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동학농민혁명의 모든 영웅께 존경을 표하며, 동학농민군들의 희생정신은 한국 국민뿐 아니라 저의 마음속에서도 오래오래 살아 숨 쉴 것입니다.


This visit to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ark was great as it provided insights into Korea's revolutionary history, and I deeply moved by Donghak peasants who sacrificed themselves to build a stronger and more democratic Korea. I respect all the heroe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spirit of sacrifice of the Donghak Peasant Army will live for a long time not only in the hearts of the Korean people but also in mine!


번역: 오진경(『녹두꽃』편집자)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4년 겨울 54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