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식지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목차열기
2025년 봄 59호
동학농민혁명기록물 브랜드 디자인 개발

한반도 첫 인간 존엄의 기록



 


  2023524일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기념재단에서는 본격적으로 동학농민혁명기록물 홍보에 나섰다. 국가유산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예산을 받아 20248월부터 202411월까지 4개월 동안 동학농민혁명기록물 BI(Brand Identity, 브랜드 이미지 및 정체성을 상징)와 캐릭터를 개발하였다. 캐릭터 팬층 형성은 물론 시민에게 동학농민혁명기록물 브랜드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서다. 기념재단에서는 이번 캐릭터 개발을 기반으로 캐릭터 상품 제작 등 관련 콘텐츠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동학농민혁명기록물 BI는 동학농민혁명기록물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사발통문의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간소하게 나타냈다. 원을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의 자음과 모음을 방사하여 표기한 모양은 사발통문의 특징을 그대로 표현한 것이다.


  사발통문은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를 견디지 못한 농민들이 봉기를 결의하며 작성한 문서이다. 종이 위에 밥그릇이나 국그릇으로 쓰는 사발을 엎어 놓고 그 바깥쪽을 따라 둥그렇게 이름이 쓰여 있다. 위아래 구분 없이 모두가 평등하다는 의미를 담기 위해 이렇게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사발통문에는 고부성을 점령하고 군수 조병갑을 죽일 것, 탐관오리들을 처벌할 것, 무기를 확보해 전주성을 점령한 뒤 서울로 곧바로 올라갈 것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동학농민혁명기록물 대표 캐릭터를 소개합니다.




 
 

  동학농민혁명기록물 대표 캐릭터 4종은 최근 트렌드를 따라 무해하고 친근한 이미지 전달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앉으면 죽산, 서면 백산이라는 말처럼 동동이는 동학농민군의 흰옷과 죽창으로 구현되었다. 어린 나이에 가난으로 부모님을 여의었지만 항상 씩씩하게 웃으며 위기에 빠진 친구를 구해준다. '동동'이라는 이름은 동동이의 부모님이 모두가 동등하고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같을 동()’이라는 글자를 써서 지어주신 것이다. 


  뾰족이는 평소에는 대나무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동동이가 위험에 처하면 동동이를 도와주는 죽창으로 변신한다. 떼굴이는 대나무를 엮어 만든 닭장인 장태를 모티브로 한다. 평소에는 함께 다니는 병아리의 따뜻한 안식처가 되어 주지만 적군이 공격할 때는 몸을 크게 부풀려 떼굴떼굴 구르며 적군의 공격으로부터 친구들을 지켜준다. 친구들은 떼굴이의 뒤에 숨어 몸을 보호할 수 있다. 딴딴이는 작고 단단한 녹두 친구다.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전봉준 장군은 어려서부터 키가 작아서 녹두장군이라는 별명으로 불리었다. 딴딴이는 녹두장군 전봉준의 화신으로, 항상 동동이를 응원하고 격려해준다.


  * 동학농민혁명기록물 BI, 캐릭터는 기념재단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상업적 목적으로 사용 불가)


정기구독 신청

발행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COPYRIGH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2025년 봄 59호
목차
目次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