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임실 지천리 동학농민군 봉기터
  • 지 역
  • 전북
  • 주 소
  • 전북 임실군 운암면 지천리 329
  • 문화재
  • 분 류
  • 모의지
  • 정 의
  • 최승우가 남원 김홍기와 연합해 일으킨 봉기터
관련 역사적 사실
임실군 운암면 지천리는 1885년 최봉성이 최시형으로부터 도를 전수 받아 포덕을 진행한 곳이다. 또한 1891년에 이르면서 임실 남원 지역은 수천 명에 이르는 동학교도 세력이 생성되는데 1894년 동학농민혁명 발발하자 이후 임실의 최승우는 최시형으로부터 동원령을 전달받았다. 이에 최승우는 남원에 거주하던 매부 김홍기게에게 연락해 임실과 남원 연합의 신흥포를 일으켰다.
고증내용
최승우는 운암면 지천리에서, 김홍기는 둔덕면 둔기리(현 오수면 오수리)에서 각각 봉기하였다. 「전북연합신문(남원권의 동학농민혁명1)」.
1894년 3월 무장기포 당시 임실 대접주는 최봉성이었다. 그는 연로하여 행동에 직접 나서지 않았고, 그의 아들 최승우가 봉기를 주도했다. 최승우는 임실군 운암면 지천리에 동학농민군을 집결시켰다.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과정 연구 - 사적지를 중심으로」, 『동학학보』 33, 195쪽.
임실군 운암면 지천리에 사는 최봉성은 신사로부터 도를 받아 포교하였고 1891년에 이르면서 남원지역에는 수천 명에 이르는 동학세력이 자리잡게 되었다. 「남원의 동학혁명운동 연구」, 『동학연구』 5, 25쪽.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발생하자, 최시형으로부터 임실의 최승우에게 “척왜척양하고 포덕천하, 광제창생, 보국안민” 하에 동원령이 전달되었는데 최승우는 즉시 남원에 거주하고 있던 김홍기에게 연락하여 임실과 남원이 합동하여 기포하였다. 「남원지역 토착 동학농민군의 활동-김홍기와 유태홍을 중심으로」, 『동학학보』 33, 41쪽.
1894년 동학혁명이 발생하자, 최시형으로부터 임실의 최승우에게 ‘척왜척양(斥倭斥洋)하고 포덕천하(布德天下), 광제창생(廣濟蒼生) 보국안민(輔國安民)’의 동원령이 전달되었는데, 최승우는 즉시 남원에 거주하고 있던 매부 김홍기에게 연락하여 임실과 남원이 합동하여 기포하였다. 포명은 신흥포였다. 「은적암과 초기 남원지역의 동학전파」, 『동학학보』 33, 83쪽.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남원의 동학혁명운동 연구」 표영삼 1999 25~27
「은적암과 초기 남원지역의 동학전파」 임형진 2014 83쪽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과정 연구 - 사적지를 중심으로」 채길순 2014 192~195, 202, 210쪽
「남원지역 토착 동학농민군의 활동-김홍기와 유태홍을 중심으로」 이병규 2014 41쪽
사진(2)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